본문 바로가기

┣기본상식-♡

멋진한자 6자성어

멋진한자

이정도만 외워두자!!!

한자성어(漢字成語) 중에서 여섯 글자로 된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1. 家貧則思良妻(가빈즉사양처):
집안이 가난해지면 비로소 아내가 어짐을 알게 된다는 말.

2. 江南橘化為枳(강남귤화위지):
강남의 귤을 강북으로 옮겨 심으면 탱자로 변한다는 뜻으로, 사람도 교화(教化) 환경에 따라 품성이 달라진다는 말.

3. 強將下無弱卒(강장하무약졸):
강한 장수 밑에 약한 병졸 없음. 장수(將帥)가 강하면 병사도 강하다는 말.

4. 高鳥盡良弓藏(고조진양궁장):
하늘 높이 나는 새가 없어지면 좋은 활도 활집에 넣어 버림. 토사구팽(兎死狗烹).

5. 谷無虎先生獐(곡무호선생장):
호랑이가 없는 골짜기에서는 노루가 선생이라는 뜻으로, 군자(君子)가 없는 곳엔 소인배가 들끓는다는 말.

6. 空手來空手去(공수래공수거):
빈 손으로 왔다가 빈 손으로 간다는 뜻으로, 재물에 연연할 것이 아님을 이르는 말.

7. 刮佛本麻滓出(괄불본마재출):
부처도 밑을 긁으면 삼오라기가 드러난다는 뜻으로, 누구에게나 단점은 있다는 말.

8. 交絕不出惡聲(교절불출악성):
비록 교제(交際)를 끊은 뒤라도 그 사람의 험담(險談)은 입 밖에 내지 말라는 말.

9. 口雖歪直吹螺(구수외직취라):
입은 비뚤어졌으나 소라는 바로 불라는 뜻으로, 말은 바른대로 하라는 말.

10. 狗逐鷄屋只梯(구축계옥지제):
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는 뜻으로. 목적한 바에 실패하고 낙심함을 이르는 말.

11. 菊花之隱逸者(국화지은일자):
국화는 속세를 등진 고결한 은사(隱士)와도 같은 풍격(風格)이 있다는 말.

12. 難上之木勿仰(난상지목물앙):
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는 말.

13. 農天下之大本(농천하지대본):
농사는 천하의 큰 근본(根本)임.

14. 對笑顏唾亦難(대소안타역난):
웃는 낯에 침 못 뱉는다는 뜻으로, 좋은 얼굴로 사람을 대하라는 말.

15. 待鄰婦妻不娶(대인부처불취):
이웃 색시 기다리다가 장가 못 간다는 뜻으로, 믿지 못할 사람을 어리석게 믿다가 기회(機會)를 놓친다는 말.

16. 東家食西家宿(동가식서가숙):
(1) 떠돌며 얻어먹고 살아감.
(2) 거처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는 말.

17. 東方禮儀之國(동방예의지국):
동쪽에 있는 예의가 바른 나라라는 뜻으로, 중국에서 우리 나라를 이르던 말.

18. 頭不梳面不洗(두불소면불세):
머리도 빗지 않고, 세수도 하지 않음.

19. 馬行處牛亦去(마행처우역거):
말이 가는 곳은 소도 갈 수 있음. 재주가 좀 떨어지더라도 꾸준히 하면 된다는 말.

20. 蒙霜露洗風雨(몽상로세풍우):
몸이 서리와 찬 이슬을 맞고 풍우에 씻긴다는 뜻으로, 몹시 고생함을 이르는 말.